눈먼 자들의 도시
노벨문학상 수상작가 주제 사라마구(Jose’ Saramago)의 대표소설로 조지 오웰의 『1984』, 카프카의 『심판』, 카뮈의 『페스트』를 능가하는 대작으로 평가받고 있다.
『눈먼 자들의 도시』는 원인불명의 ‘실명’이라는 전염병이 한 도시 전체에 퍼진다는 가정에서부터 시작한다. 이 소설은 시간적 공간적 배경이 확실하지 않으며, 등장하는 인물들의 이름 또한 따로 없는 것이 특징이다. 수용소에 강제 격리되어 각자의 이익을 챙기는 눈먼 사람들, 이들에게 무차별하게 총격을 가하는 군인들의 폭력, 전염을 막기 위해 수용 조치를 내린 냉소적인 정치인, 범죄 집단을 방불케 하는 폭도들이 등장한다.여기서 중요한 것은 이름이 아니라 ‘눈이 멀었다’는 사실 그 자체로 작품 속의 인간들은 물질적 소유에 눈이 멀었을 뿐만 아니라 그 소유를 위해 자신의 인간성조차 잃어버린 장님들로 풀이된다.
이 소설은 우리가 가지고 있는 것을 잃었을 때에야 가지고 있는 것이 무엇인지를 깨닫게 된다는 사실을 날카롭게 풍자한다. 또한, 처음으로 눈이 멀어 수용소에 갇히는 인물들은 함께 서로의 고통을 나누고, 의지하며 도와가는 모습을 통해 진정한 인간애는 무엇인지 질문하게 만든다. 사라마구는 이들의 모습에서 인간이 살아가는 본질적인 이유를 제시하고 있다. 특히 유일하게 눈이 멀지 않은 ‘안과 의사의 아내’는 바로 인간의 선한 면을 상징하고 있다.
『눈먼 자들의 도시』는 우리를 긴장시키고 놀라게 할 뿐만 아니라 인간에 대한 확신을 뒤흔드는 작품이지만, 한번 잡으면 쉽게 놓을 수 없는 매력을 가지고 있다. 사라마구는 서로 베풀고 사랑하며 더불어 사랑하는 진정한 ‘눈뜬 자들의 도시’를 만들기 위해 일상에 좀더 주의 깊은 시선을 가지도록 우리에게 경고의 메시지를 보내고 있다.
[button link=”https://www.aladin.co.kr/shop/wproduct.aspx?ItemId=388981″ newwindow=”yes”] 『눈먼 자들의 도시』 도서 살펴보기[/button]
<주제 사라마구가 그의 책을 영화한 <눈 먼 자들의 도시(Blindness)>를 보고 난 직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