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군주론

Home / Glossary / 군주론

군주론(君主論, The Prince)

XL《군주론》은 이탈리아의 외교관이자 정치철학자인 니콜로 마키아벨리가 저술한 16세기의 정치학 저술이다. 마키아벨리의 서한으로 보건데 De Principatibus라는 라틴어 제목의 한 소책자가 1513년에 이미 널리 읽히고 있었던 듯하다. 그러나 인쇄본은 마키아벨리가 죽고 5년 뒤인 1532년까지 출간되지 못했다. 메디치 가의 교황 클레멘스 7세의 허락으로 출간될 수 있었는데, “그 훨씬 이전에, 사실상 필사본 군주론의 첫 등장 이래로 그의 저서에 관해 많은 논란이 일었다.

군주론은 때로 근대 철학, 특히 어떠한 관념적 이상보다도 실질적인 진리를 이끌어 내는 것이 더 중요하게 여겨지는 근대 정치 철학에 관해서 선구자 격의 저서라 일컬어진다. 또한 당대에 지배적이었던 가톨릭과 더불어 스콜라주의와의 직접적인 갈등 속에서 군주론은 정치와 윤리를 바라보는 시각에 방점을 찍은 것이었다.

비교적 짧은 내용임에도 군주론은 마키아벨리의 저술 중에서 가장 널리 알려져 있는데 비아냥 거리는 의미의 ‘마키아벨리즘’이란 단어는 여기서 유래되었다. 또한 악마라는 의미의 영어 표현인 ‘Old Nick’의 유래와 관련이 있고 심지어 현대 서구에서 ‘정치’와 ‘정치가’라는 단어에 함축된 부정적인 의미 형성에 영향을 끼쳤다. 군주론의 주제에 있어서 훨씬 길고 몇 년 후에 쓰인 로마사 논고와 중복되는 부분이 있다. 정치를 위해 범행을 자행하는 인간의 사례로서 당대에 근접한 시대의 이탈리아인을 차용한, 군주론과 비교되는 마키아벨리의 다른 저술로서 카스루치오 카스트라카니 다 루카의 생애가 있다.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비도덕적 수단의 사용을 정당화 시킬 수 있는 군주의 목적에 대한 수용만이 군주론의 목적이라고 흔히 알려져 왔으나, 이러한 주장은 당시 이탈리아 통일과 인민 삶의 개선 목적과 새로운 국가의 성립이라는 마키아벨리의 세부적 사상을 간과한 것이라고 할 수 있다.

[button link=”http://www.yes24.com/Product/Goods/16777566″ align=”middle” color=”blue” newwindow=”yes”] 『군주론』도서 살펴보기[/button]

LIfeguruking

LIfeguruking

언제나 재미있고 가치있는 정보를 제공하는 무료 정보 제공 사이트 – 라이프구루킹을 운영하고 있습니다. 항상 진심을 담아 가치있는 글을 쓰겠습니다.

함께 보면 좋은 관련 포스트

다음 글

카테고리

라이프구루킹 두번째 사이트

광고 후원

오늘의 뉴스톡

특별기획