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거울신경세포

Home / Glossary / 거울신경세포

거울신경세포(Mirror Neurons)

images?q=tbn:ANd9GcQZzVn54bvo h1n7 FoXmx gnlrotBezfcBvQ&s

거울신경세포(Mirror Neurons)는 특정 행동을 수행하거나 다른 사람이 그 행동을 수행하는 것을 관찰할 때 활성화되는 신경세포이다. 이 세포는 인간과 동물의 사회적 행동, 학습, 공감, 그리고 모방과 같은 복잡한 인지적 과정을 이해하는 데 중요한 역할을 한다.

거울신경세포의 주요 특징

🔸발견: – 1990년대 초, 이탈리아 파르마 대학의 연구진이 원숭이의 대뇌 전두엽 하부(ventral premotor cortex)에서 처음 발견하였다. 원숭이가 특정 행동(예: 물건 잡기)을 수행하거나 다른 원숭이나 사람이 동일한 행동을 하는 것을 볼 때 동일한 뉴런이 활성화되는 현상을 관찰했다.

🔸위치: 인간의 경우, 거울신경세포는 전운동 피질(premotor cortex), 하두정엽(inferior parietal lobe), 그리고 전두엽 하부(frontal cortex)에 위치한다.

🔸기능: 모방 학습: 다른 사람의 행동을 보고 학습할 수 있게 한다., 공감과 사회적 연결: 타인의 감정을 이해하고 공감하는 데 기여한다., 행동 이해: 다른 사람의 의도를 추론하고 행동의 목적을 예측하는 데 도움을 준다. 언어 발달: 인간의 언어 능력과 관련이 있다고 제안된다. 특히, 제스처 기반 의사소통이 언어의 기원에 기여했을 가능성을 뒷받침한다.

거울신경세포의 역할

🔸사회적 학습: 아이들이 부모나 다른 사람을 모방하며 행동을 배우는 데 중요한 역할을 한다. 문화적 지식과 기술이 세대를 넘어 전달될 수 있는 기제를 제공한다

🔸공감과 감정 이입: 다른 사람의 감정이나 고통을 이해하는 데 핵심적인 역할을 한다. 예를 들어, 다른 사람이 다쳤을 때 자신도 고통을 느끼는 것처럼 활성화된다.

🔸운동 계획과 실행: 거울신경세포는 자신의 움직임을 계획하는 데도 관여한다. 이는 행동을 시뮬레이션하거나 그 행동이 어떻게 수행될지를 미리 연습하는 데 도움을 준다.

🔸의사소통: 언어와 비언어적 의사소통을 지원하며, 상대방의 몸짓, 표정, 말투를 이해하는 데 기여한다.

거울신경세포와 질병

거울신경세포의 기능 장애는 다음과 같은 질환과 관련이 있는 것으로 여겨진다:

🔸자폐 스펙트럼 장애(ASD): 타인의 감정과 행동을 이해하거나 공감하는 데 어려움을 겪는 자폐인의 증상과 관련이 있을 수 있다.

🔸사회적 결핍 장애: 공감 능력이나 사회적 상호작용의 결핍과 연관된다.

LIfeguruking

LIfeguruking

언제나 재미있고 가치있는 정보를 제공하는 무료 정보 제공 사이트 – 라이프구루킹을 운영하고 있습니다. 항상 진심을 담아 가치있는 글을 쓰겠습니다.

함께 보면 좋은 관련 포스트

다음 글

카테고리

라이프구루킹 두번째 사이트

광고 후원

오늘의 뉴스톡

특별기획