밈(meme)
대개 모방의 형태로, 인터넷을 통해 사람에서 사람 사이에 전파되는 어떤 생각, 스타일, 행동 따위를 일컫는 용어다. 이에 대응되는 한국어 표현으로는 짤방, 짤 등이 있다.
밈은 1976년, 리처드 도킨스의 〈이기적 유전자〉에서 문화의 진화를 설명할 때 처음 등장한 용어이다. 밈은 마치 인간의 ‘유전자(진, gene)’와 같이 ‘자기복제적 특징을 갖고, 번식해 대를 이어 전해져 오는 종교나 사상, 이념 같은 정신적 사유’를 의미했다. 이것이 ‘패러디되고 변조되며 퍼지는 작품 속 문화 요소’라는 의미로 확대된 것은 90년대 후반에서 2000년대 초반으로, 인터넷이 보급된 뒤 폭발적으로 늘어나는 새로운 방식의 문화 전파 현상을 도킨스의 용어를 빌려 표현한 것이다.
특히 영미권 커뮤니티에서 채팅이나 UCC 활동을 할 때 쓰이는 필수요소를 밈이라 일컫게 되면서 한국에서도 네티즌 사이에서 널리 쓰이게 되었다. 즉, 온라인에서 유행하는 웃긴 말을 적어서 다시 제작한 그림과 사진, 영상 등을 밈이라고 이해하면 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