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사이트 소개
  • 이용약관
  • 문의/연락하기
토요일, 12월 2, 2023
라이프구루킹
  • 홈
  • 교육
    • 영어
    • 영어원서
    • e-Education
    • 교육심리
  • 생산성
    • 자기계발
    • 비즈니스
    • IT
  • 심리
    • 사회심리
    • 교육심리
    • 정신건강
  • 생활
    • 태국
    • 인물
    • 사회환경
    • 반려동물
    • 취미
      • 게임
      • 영화
      • 음악
      • 운동
      • 여행
  • 문화
    • 도서
    • 라디오
    • 영화
    • 예술
  • 사회
    • 인물
    • 인생
    • 정치
    • 사회심리
    • 사회환경
  • 기타
    • 사이트 소개
    • 라이프구루킹 홈페이지 이용약관
    • 문의/연락하기
No Result
View All Result
라이프구루킹
  • 홈
  • 교육
    • 영어
    • 영어원서
    • e-Education
    • 교육심리
  • 생산성
    • 자기계발
    • 비즈니스
    • IT
  • 심리
    • 사회심리
    • 교육심리
    • 정신건강
  • 생활
    • 태국
    • 인물
    • 사회환경
    • 반려동물
    • 취미
      • 게임
      • 영화
      • 음악
      • 운동
      • 여행
  • 문화
    • 도서
    • 라디오
    • 영화
    • 예술
  • 사회
    • 인물
    • 인생
    • 정치
    • 사회심리
    • 사회환경
  • 기타
    • 사이트 소개
    • 라이프구루킹 홈페이지 이용약관
    • 문의/연락하기
No Result
View All Result
라이프구루킹
No Result
View All Result

키가 작은 사람은 어떠한 차별을 받으며 살아가고 있을까?

LIfeguruking by LIfeguruking
2022년 02월 09일
in 문화, 뉴스, 사회환경, 정치
0
0
공유
203
VIEWS
페이스북 공유트위터 공유

추천 관련 포스트

미국 사회 심각한 문제로 떠오르는 ‘팁 문화’, 그에 대한 모든 것

당신이 궁금해왔던 챗GPT의 모든 것

한눈에 보는 <라이프구루킹 2022>

목차

  1. 키 작은 남자는 루저
  2. 키는 또 하나의 권력
  3. 한국에서의 키 권력
  4. 키 차별의 해결방안
  5. 차별과 편견의 나라, 한국
  6. 출처

한국에서 살다 보면 매일 우리가 알듯, 모를 듯, 그러나 불쾌한 여러 차별들을 받으며 하루를 보낸다. 그런 차별들 중 가장 대표되는 하나가 바로 ‘키’ 일 것이다. ‘키로 인한 차별’. 이것은 비단 한국이라는 동양권에만 국한되지 않고, 서양권에서도 비슷한 차별은 존재해왔다. 사실 우리가 동물인 이상 동서고금을 막론하고 인간의 신체 부위 중 가장 쉽게 구분할 수 있는 요소인 ‘키’가 차별의 요소인 것은 당연할지도 모른다. 오늘은 ‘키가 작은 사람은 어떠한 차별을 받으며 살아가고 있을까?’라는 질문에 진지한 답변을 찾아보고자 한다. 키에 대한 차별, 하이티즘(Heightism)을 자세히 알아보고 이것이 어떤 영향을 미치는지, 또 그 해결책은 없는지 알아보았다.

키로 인한 차별과 멸시를 받고 계신 분, 인관관계에서의 통찰을 원하시는 분, 사회 심리학에 관심있는 분들에게 재미있는 읽을 거리가 될 것이라고 생각한다.

2
Photo by Charles 🇵🇭 on Unsplash

키 작은 남자는 루저

l1

한국 내에서 키에 대한 차별이 크게 공론화되기 시작한 것은 2009년 11월이라 생각이 든다. 그 당시 ‘미녀들의 수다’란 프로그램에서 패널로 참석한 한 여성이 “내 키가 170cm라서 180cm 이상의 남자를 원한다”, “키는 경쟁력이다. 키 작은 남자는 루저(Loser, 실패자)라고 생각한다”라는 발언을 했다. 그리고 그녀의 이 몇 마디 말은 사회적으로 엄청난 파장을 가져다준다. 각종 커뮤니티에서 남녀가 남자의 키로 갑론을박 토론을 버렸고, 오죽하면 손석희의 시선집중에서도 다룰 정도였다. (1) 이 사건 이후, 키가 작은 사람들에 대한 인식은 급속도로 나빠졌고, 키 작은 사람들은 자신이 겉 사이즈를 강요하는 현대사회의 하이티즘(Heightism: 키 작은 사람에 대한 차별이나 멸시)과 루키즘(Lookism: 겉으로 드러나는 외형을 중요시하는 현상)의 피해자라며 불만을 본격적으로 토로하기 시작했다.

키는 또 하나의 권력

프랑스의 사회학자 니콜라 에르팽(Nicolas Herpin)는 그의 저서 ‘키는 권력이다’에서 키 큰 남자가 키 작은 남자보다 사회적으로 성공할 확률이 높다는 것이 단순한 가설이 아닌 사회학, 인류학, 생물학, 사회심리학, 고용 경제학, 교육사회학, 인구통계학 등 여러 학문의 연구결과를 통해 입증하였다.

에르팽은 다시 미국, 영국, 프랑스 등 여러 나라의 통계 조사를 통해 키에 대한 차별은 모든 나라에서 공통적으로 일어나는 사회 현상이라는 충격적인 사실을 발견한다. 그의 발견은 다음과 같다.(2)

한국에서의 키 권력

에르 펭의 연구 조사 결과는 한국에서도 예외는 아니었다. 오히려 하이티즘(Heightism)은 어느 다른 나라보다 더 두드러졌다. 

보건사회 연구소 조사에 따르면 17세 이하 남자의 평균 키는 월소득 300만 원 이상의 가구에서는 129.8cm인 반면, 100만 원 미만의 가구에서는 122.4cm로 무려 7.4cm나 차이가 났다. (3)  이런 부의 불평등에서 오는 키 차이는 결국 30 ~ 40대에 신장에 따른 임금의 불평등을 만들어 냈다. 2010년 ‘한국 노동시장에서의 신장 프리미엄’이란 연구 논문에서 키가 1cm 증가함에 따라 연간 약 40만 원 정도 더 많은 임금을 받는다는 것을 알아냈다. 이러한 키에 따른 임금의 차이 (3.8%)는 미국(2.5%), 영국(2.7%) 보다 컸다. (4)

여자의 경우도 키는 ‘스펙’의 일부가 된 지 오래되었다. 2018년 ‘노동시장 이행과정에서의 신장 프리미엄’ 연구에 따르면 장신 여성은 평균 키 여성보다 취업 가능성이 3.4배 높았고 양질의 일자리를 가질 가능성도 3배 높았으며, 급여도 마찬가지로 12.6%나 많이 받았다.

4

키 차별의 해결방안

이처럼 키 차별이 사회적 불평등을 만들 뿐만 아니라, 세대를 이어 재생산하는 중요한 문제라면, 이를 해결할 방안은 과연 없는 것일까? ‘키는 권력이다’의 저자 에르 팡은 키에 따른 차별 금지를 사회운동으로 확산하여, 키 차별에 관한 법률을 제정함으로 키에 대한 사회적 고정관념을 없애자고 주장한다.

키 차별 금지법은 인권과 차별금지 차원에서 미국과 캐나다 일부 주에서 실행되고 있다. 그러나 한국의 경우, 차별금지법은 2006년 노무현 정부 당시 인권위 권고로 제정 논의가 시작된 후, 지난 17~19대 국회에서 총 6건의 법안이 발의됐으나 제정에는 이르지 못하고 있다. (6)

 

키가 작은 사람들에게 유리한 미국의 정치적 전개과정은 페미니스트 투쟁, 인종차별과 반유대주의 투쟁, 동성애자 차별 반대투쟁 등 과거의 또 다른 사회운동이 추진했던 것과 유사하다. 1단계에서 지식인들이 정보를 제공하고, 명사(名士)들이 입장을 취하고, 널리 알려진 대의명분이 천명된다. 2단계에서는 공권력에 호소하는 대중운동이 조직된다. 키가 작은 사람들에게는 “살아야 할 어떤 이유도, 사랑해야 할 어떤 사람도 없네(no reason to live, nobody to love)”라는 가사가 들어 있는, 작곡가 랜디 뉴먼(Randy Newman)의 노래에 대한 반응으로 요구사항의 대중화가 이루어지기도 했다. 사회운동의 마지막 단계는, 직장에서 키가 작은 사람들의 수입 부족분을 보상하는 특별 공공정책을 실시하는 일일 것이다.
니콜라 에르팽의 ‘키는 권력이다’ 중에서
Tweet

차별과 편견의 나라, 한국

한국에서 살 때, 정말 많은 사람들에게서 듣는 말 중의 하나가 ‘정말 요즘 한국에서 살기 힘들다.’였다. 비싼 한국 물가와 집값, 치열한 경쟁, 개인주의, 기본 예의 상실 등 많은 이유 때문에 한국에서의 생활이 힘들겠지만, 유독 한국 내의 다양한 ‘차별과 편견’이 큰 한 목을 차지한다고 생각이 든다. 남성, 여성, 노인, 장애인, 성소수자, 외국인 등에 대한 차별과 편견들 때문에 일면식도 없는 사람들과 인터넷에서 논쟁을 하고, 그와 관련된 뉴스를 거의 매일 접하고 산다. 많은 차별과 편견들 중 하나인 ‘키’를 고른 이유는, ‘키 차별’이 부(富)에 의한 사회적인 불평등과 가장 밀접한 관계가 있기 때문이였다.

고질적인 사회 문제를 한 번에 고치는 데는 분명 무리가 있을 것이다. 그렇지만, 무엇이 문제인지를 알고 그것이 잘못되었다는 사실을 인지하는 순간부터 비로소 해결책을 찾을 실마리를 발견할 수 있다. 사회적 불평등을 해결하기 위한 국가적인 노력과 차별 금지법의 시행으로 앞으로 내 아이가 자라날 한국이 좀 더 살기 좋은 나라로 변화하기를 진심으로 바란다.


출처

  • 1) 김종한 기자, 키작은 男 비하… 인터넷은 지금 ‘루저의 난’, 한국일보, 2009/11/12
  • 2) 니콜라 에르팽, 키는 권력이다, 현실문화, 2008/3
  • 3) 박선이 기자, 우리는 왜 큰 키에 집착하는가, 조선닷컴, 2008/3/21
  • 4) 박기성, 이인재, 한국 노동시장에서의 신장 프리미엄, 2010/12
  • 5) 민나리 기자, 씁쓸한 외모지상주의… 여성의 키는 ‘스펙’, 서울신문, 2018/1/8
  • 6) 허현덕 기자, ‘차별금지법은 나중에’라는 인권위원장 소식에 인권단체 반발, 비마이너, 2019//9/18

Tags: 사회현상스트레스차별

함께 보면 좋은 관련 포스트

eugenivy reserv qwrSnnJDk30 unsplash 1
미디어

크리스마스 특집 단편 애니메이션 10편

2023년 12월 02일
23
원서요약 #10 성공하는 경력전환과 재취업을 위한 마음가짐 - 아놀드 슈워제네거 마인드셋
도서요약

원서요약 #10 성공하는 경력전환과 재취업을 위한 마음가짐 – 아놀드 슈워제네거 마인드셋

2023년 11월 21일
4
위대한 독립 영웅, 홍범도 장군 그와 관련된 모든 것
역사

위대한 독립 영웅, 홍범도 장군 그와 관련된 모든 것

2023년 10월 05일
24
다음 글
현재 미국에서 난리난 온라인 교육 플랫폼, 게임으로 공부하는 블루켓(Blooket)

게임으로 공부하는 블루켓(Blooket), 현재 미국에서 난리난 온라인 교육 플랫폼

답글 남기기 응답 취소

이메일 주소는 공개되지 않습니다. 필수 필드는 *로 표시됩니다

카테고리

인기글 Top.5

  • 영어 원서 무료로 다운받을 수 있는 사이트 10개

    영어 원서 무료로 다운받을 수 있는 사이트 10개 (2023/11/2 업데이트)

    0 shares
    Share 0 Tweet 0
  • MBTI 성격검사, 왜 갑자기 인기가 많아진 것일까?

    0 shares
    Share 0 Tweet 0
  • 외국인을 위한 무료 한국어 사이트 10개

    0 shares
    Share 0 Tweet 0
  • 인공지능, AI 배우는 가장 현실적인 방법 5가지

    0 shares
    Share 0 Tweet 0
  • 단 1분만에 스마트폰 터치펜 만들기

    0 shares
    Share 0 Tweet 0

특별기획

광고 후원

당신을 위한 무료 정보 제공 사이트

언제나 재미있고 가치있는 정보를 제공하는 무료 정보 제공 사이트 – 라이프구루킹은 언제나 사람과 사회를 생각합니다.

 

Copyrigt ©2023 Lifeguruking All rights Reserved

Categories

정기구독

Browse by Tag

AI IT MOOC 건강 게임 공포 교육 교육심리 그림 다운로드 단편애니 도서 도서요약 문화 미디어 비즈니스 사회 사회심리 사회현상 생산성 생활 스트레스 심리 역사 영감 영어 영어교육 영어원서 예술 원서다운로드 원서요약 웹사이트 유튜브 음악 인문학 인물 인생 인터넷 자기계발 재미 정신건강 창의성 취미 컴퓨터 효율성

최근 소식

eugenivy reserv qwrSnnJDk30 unsplash 1

크리스마스 특집 단편 애니메이션 10편

2023년 12월 02일
예일대 졸업생 3%의 성공 비결 진짜일까?

예일대 졸업생 3%의 성공 비결 진짜일까?

2023년 11월 30일
원서요약 #10 성공하는 경력전환과 재취업을 위한 마음가짐 - 아놀드 슈워제네거 마인드셋

원서요약 #10 성공하는 경력전환과 재취업을 위한 마음가짐 – 아놀드 슈워제네거 마인드셋

2023년 11월 21일
No Result
View All Result
  • 홈
  • 교육
    • 영어
    • 영어원서
    • e-Education
    • 교육심리
  • 생산성
    • 자기계발
    • 비즈니스
    • IT
  • 심리
    • 사회심리
    • 교육심리
    • 정신건강
  • 생활
    • 태국
    • 인물
    • 사회환경
    • 반려동물
    • 취미
      • 게임
      • 영화
      • 음악
      • 운동
      • 여행
  • 문화
    • 도서
    • 라디오
    • 영화
    • 예술
  • 사회
    • 인물
    • 인생
    • 정치
    • 사회심리
    • 사회환경
  • 기타
    • 사이트 소개
    • 라이프구루킹 홈페이지 이용약관
    • 문의/연락하기

Copyrigt ©2023 Lifeguruking All rights Reserv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