인터넷에서 콘텐츠를 생산하는 사람으로 저작권은 언제나 신경 쓰이는 요소다. 저작권을 갖고 있는 소유주가 자신의 돼지 저금통을 불리기 위해 소리 소문 없이 저작권 침해 소송이나 손해배상 청구를 걸면 꼼짝없이 당할 수밖에 없다. 또한 저작권법은 다소 난해하고 수시로 변경되어 어느 정도까지가 저작권에 포함되는지 몰라 실수하는 경우도 일상다반사다.
오늘은 저작권과 관련 법에 대해 간략하게 알아보고, 저작권이 만료되거나 없는 100% 무료 콘텐츠를 제공하는 사이트를 소개해보려고 한다. 영화, 음악, 도서와 사진 등 다양한 양질의 콘텐츠를 무료로 받는 것은 물론이고, 정보의 내용을 자신에게 맞게 변경하거나 수정도 가능하다. 그럼 저작권 개나 줘버리는 사이트를 지금 만나보자.
저작권, 얼마나 알고 있는가?
저작권 없는 무료 사이트를 소개하기 전에 저작권은 무엇이고 우리가 무엇을 조심해야 하는지 알아본다. 혹시 모를 저작권 깡패에게 당하지 않기 위해서라도 몇 분의 시간을 투자하는 것은 결코 나쁜 선택은 아닐 것이다.
저작권 이란
저작권이란 문학·예술·학술 분야의 저작물에 대해 창작자가 가지는 권리를 일컫는다. 저작권은 어떠한 형식과 절차 없이 저작물이 만들어진 시점부터 법적 효력이 발생한다.
저작물의 종류
『 저작권법 제4조』에는 저작물의 여러 형태를 예시로 들고 있다.
- 소설ㆍ시ㆍ논문ㆍ강연ㆍ연설ㆍ각본 그 밖의 어문저작물
- 음악저작물
- 연극 및 무용ㆍ무언극 그 밖의 연극저작물
- 회화ㆍ서예ㆍ조각ㆍ판화ㆍ공예ㆍ응용미술저작물 그 밖의 미술저작물
- 건축물ㆍ건축을 위한 모형 및 설계도서 그 밖의 건축저작물
- 사진저작물(이와 유사한 방법으로 제작된 것을 포함)
- 영상저작물
- 지도ㆍ도표ㆍ설계도ㆍ약도ㆍ모형 그 밖의 도형저작물
- 컴퓨터프로그램저작물
저작권 침해를 하면?
저작권을 침해하게 되면 『 저작권법 제136조』에 따라 징역을 받거나 벌금을 내야한다.
저작재산권, 그 밖에 이 법에 따라 보호되는 재산적 권리(제93조에 따른 권리는 제외한다)를 복제, 공연, 공중송신, 전시, 배포, 대여, 2차적저작물 작성의 방법으로 침해한 자는 5년 이하의 징역 또는 5천만원 이하의 벌금에 처하거나 이를 병과(倂科)할 수 있다.
다른 사람의 저작권을 침해하지 않고 콘텐츠를 제작하는 방법
그렇다면 다른 사람의 저작권 침해를 하지 않으면서 콘텐츠를 제작하려면 어떻게 해야 할까? 법제처 사이트『찾기 쉬운 생활법령 정보 사이트 』에서는 가장 많은 질문사항을 토대로 알기 쉬운 답변을 만들었다. 그중 몇 개를 정리해보았다. (1)
저작권이 풀리거나 없는 콘텐츠
저작권은 땅처럼 매매할 수 있고, 자식에게 물려주거나 다른 사람에게 대가를 받고 빌려줄 수도 있다. 이러한 저작권의 경제적 측면을 가리켜 저작재산권이라 하며, 저작자가 살아있는 동안과 죽은 뒤 70년간 보호된다. 그러나 저작자가 사망 후 70년이 지나면 자동으로 ‘만료저작물’이 되어 누구나 별도의 이용허락이나 승인절차 없이 자유롭게 이용 가능하다.
또한, 자신이 창작한 저작물을 다른 이들이 저작권료 없이 이용할 수 있도록 국가에 저작권을 기증한 훌륭한 분들이 계신다. 그 대표적인 사례로 안익태 선생님의 유족들이 기증한 애국가가 있다. 우리가 애국가를 이토록 쉽게 이용할 수 있게 된 것은 안익태 선생님이 만들어 주신 것뿐만 아니라 그의 유족들이 저작권을 기증했기 때문이다. 이러한 저작권 기증 콘텐츠를 ‘기증저작물’이라 하며 공공의 이익과 문화발전을 위한 제2의 건전한 창작활동으로 규정한다.((2)
마지막으로 ‘공유저작물‘이 있다. 공공저작물이란 국가, 지방자치단체, 공공기관이 저작권을 가진 저작물로 그 양이 방대하고 품질과 정보의 정확성이 뛰어난 편이다. 쉽게 정부부처에서 만든 콘텐츠를 일반인에게 대여하여 문화적 · 경제적 부가가치 창출에도 이바지하도록 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그렇지만 현재 공공저작물은 공공기관의 이용 허락 절차가 복잡하며 아직 뚜렷한 저작권 처리방안이 마련되지 않아 공유저작물 사용에 부담감과 어려움이 따른다.
추천 저작권 없는 무료 사이트
이제 ‘만료저작물’이나 ‘기중저작물’ 그리고 ‘공유저작물’이 있는 다양한 사이트를 살펴볼 것이다. 영화, 음악, 도서, 영상, 그리고 사진 등의 저작권이 풀리거나 없는 콘텐츠의 정보를 제공하거나 직접 다운로드가 가능한 사이트로, 자료의 형태에 따라 또 다른 2차 창작물로 만들어 저작권을 소유하는 것이 가능하다. 정보 자체가 돈이 되고, 누구나 크리에이터가 될 수 있는 세상에서 저작권없는 자료를 바탕으로 만들고(Create), 나누고(Share), 다시써서 (Remake) 나만의 지적 재산물을 소유해보길 바란다.
공유마당
한국저작권위원회에서 운영하는 저작물 공유 사이트


한국저작권위원회에서 운영하는 자유이용 저작물 공유 사이트로 국내 원탑이라 볼 수 있다. 공유마당은 저작권 만료, 기증, 공공기관, 무료 개방 등 저작권 권리 처리가 필요 없는 콘텐츠를 제공해 창작자들이 자유롭게 활용할 수 있도록 지원하고 있다.
현재까지 공유마당을 통해 제공되는 공유저작물은 대략 75만 건이며, 최근 창작자, 문화콘텐츠 중소기업, 1인 미디어 산업에서 활용성이 높은 배경음악, 효과음, 일러스트 등의
공유저작물 제공이 확대되어 제공하고 있다. 자유이용허락표시제도(CCL)만 준수한다면 별도의 회원가입 없이 편리하게 이용 가능하고 원한다면 자신의 저작물을 기증할 수도 있다.
거의 모든 자료는 복잡한 절차 없이 간단하게 다운로드 할 수 있지만, 이용 전에 반드시 권리자가 정한 이용 범위와 조건을 자세히 확인해야 어렵고 귀찮은 법적 분쟁을 피할 수 있다.
눈누
상업용 무료 한글폰트 사이트


눈누는 상업적으로 이용할 수 있는 한글 폰트를 무료로 제공하는 사이트다. 구글 폰트보다 더 다양하고 트렌디한 글꼴을 다운로드하여 볼 수 있다는 큰 장점 외에도 가장 잘 나가는 추천 폰트 및 다양한 디자인에 적절하게 쓰인 폰트를 포트폴리오 샘플을 통해 확인하고 배울 수 있다.
눈누의 폰트는 상업적으로 이용이 가능하지만, 폰트 소프트웨어 사용과 취급으로 발생하는 일에 대해서 눈누는 책임이나 의무를 지지 않는다고 분명히 명시하고 있다. 따라서 사용 전에 폰트의 저작권을 재확인할 필요는 있어 보인다.
캔바(Canva)
프레젠테이션, 포스터, 문서 및 기타 시각 콘텐츠를 위한 최고의 디자인 사이트


캔바(Canva)는 다양한 유형의 디자인을 제작하는 웹 디자인 소프트웨어로, 단계별 설명을 통해 명함에서부터 Instagram 게시물까지 원하는 유형의 디자인을 순식간에 제작할 수 있다. 캔바에서는 썸네일뿐만 아니라 SNS 게시물, 전단지와 포스터, 그리고 PPT까지 다양한 템플릿을 제공하고 있으며 저작권이 없는 무료 폰트, 아이콘 등을 사용할 수 있어 디자인 초보자도 금손으로 만들어 준다.
그뿐만이 아니다. 캔 바에서는 생각보다 많은 국내 폰트뿐만 아니라 비싼 돈을 주고 구입해야 할 것 같은 아이콘과 로티(Lottie)도 꽤 많이 보유하고 있다. 그리고 그 숫자는 지속적으로 증가하고 있다.
캔바 프로 사용자는 브랜드 키트, 무제한 콘텐츠, 배경 제거 등의 다양한 프리미엄 기능을 사용해 전문적 디자인을 간편하게 제작할 수 있지만, 무료로도 충분히 활용이 가능하다. 그리고 만약 교육계 종사자라면 교육용 계정을 반드시 신청하길 바란다. 교육용 이메일 계정과 관련 종사자임을 확인할 수 있는 서류를 첨부하여 교육용 계정을 신청하게 되면 평생 무료로 프로 계정의 모든 기능을 사용할 수 있기 때문이다.
위키독스 (WikiDocs)
온라인 책을 제작 공유하는 플랫폼 서비스


위키독스는 위키 시스템을 차용한 대한민국의 전자책 제작 공유 플랫폼으로 컴퓨터 과학, 프로그래밍, 가상화폐, 주식 등과 관련된 서적을 주로 서비스하고 있다. 위키독스는 간결하고 빠른 목차로 원하는 정보를 쉽게 찾을 수 있으며, 피드백과 댓글을 통해 작가와 독자는 상호 의사소통이 가능하다는 특징이 있다.
또한, 책 단위로 공동저자를 설정하여 여러 명이 함께 책을 만들어 가거나, 댓글 또는 피드백을 작성할 경우 저자에게 이메일로 해당 내용이 전달받을 수 있는 알람 기능 등이 있어 사용자가 편하게 책을 읽는 것 외에 지적 공동체로서 사회적 참여가 가능하다.
진입 장벽이 낮다는 특징으로 인해 책의 완성도는 천차만별이지만,《모두를 위한 컨벡스 최적화》와 같이 상당한 수의 실무진과 연구진이 저자로 참여한 훌륭한 책도 있다. 특히, 컴퓨터 과학과 관련된 정보에서 두각을 보여, 프로그래밍 언어의 기초 설명부터 딥 러닝, 자연어 처리, 데이터 사이언스, 웹 개발 등 다양한 분야의 IT 관련 서적을 무료로 읽어볼 수 있다.
인터넷 아카이브(Internet Archive)
없는 것 빼고 다 있는 거대 정보 저장소


인터넷 아카이브(Internet Archive)는 수백만 권의 무료 도서, 영화, 소프트웨어, 음악, 웹 사이트 보존문서 등을 열람하고, 소장하며 배포를 할 수 있는 명실상부 인류 최고의 디지털 전자도서관이다. 인터넷 아카이브의 슬로건이자 모토, 우리의 임무는 모든 지식에 대한 보편적인 액세스를 제공하는 것입니다.(Our mission is to provide Universal Access to All Knowledge)에서 느낄 수 있듯이, 저작권이 지난 모든 자료는 다 여기로 직행한다고 봐도 무방하다.
프로젝트 구텐베르크(Project Gutenberg)
저작권 무료 전자 도서관


프로젝트 구텐베르크(Project Gutenberg,PG)는 인류의 자료를 모아서 전자정보로 저장하고 배포하는 프로젝트로, 인터넷에 전자화된 문서(e-text)를 저장해 놓고 누구나 무료로 책을 받아 읽을 수 있는 가상 도서관을 만드는 것을 목표로 한다. 수많은 자원봉사자들이 인터넷을 이용해 기여하여 만들어지는 프로젝트로 소설, 시, 단편소설, 드라마 등의 문학작품 외에 요리책, 사전류, 정기간행물이 포함되어 있다. 또한 일부 오디오 파일과 음악 악보 파일도 갖고 있다.
대부분은 영문 서적이지만, 독일어, 프랑스어, 이탈리아어, 에스파냐어, 네덜란드어, 핀란드어, 중국어, 포르투갈어, 라틴어, 스웨덴어, 라틴어, 에스페란토로 된 책도 있으며, 여타 언어 문서도 꾸준히 증가하고 있다.
만약 더 많은 최근 영어 원서를 찾고 있다면 영어 원서 무료로 다운받을 수 있는 사이트 10개를 살펴보길 바란다.
영어 원서 무료로 다운받을 수 있는 사이트 10개
아트비(Artvee)
저작권 없는 명화를 HD화질로 받을 수 있는 사이트


아트비(Artvee)는 고전 그림을 초고화질로 다운로드할 수 있는 사이트다. 사이트에서 다운로드한 거의 모든 이미지는 오픈 액세스 정책(open access policy)에 따라 상업용을 포함한 모든 목적으로 자유롭게 사용할 수 있다.
물론 미술과 예술과 연관된 정보가 가장 많은 구글 아트앤컬쳐에서 일부 이미지를 고해상도로 다운로드할 수 있었지만, 그 양이 상대적으로 적다. 그러나 아트비는 미니애폴리스 인스티투테 오브 아트 (Minneapolis Institute of Art), 시카고 미술관 (The Art Institute of Chicago), 암스테르담 국립미술관(Rijksmuseum) 등 약 50여 개의 미술관과 박물관과 협업하여 저작권이 풀린 미술작품 원화를 무료로 다운로드하는 서비스를 제공하고 있다. 그래서 보유한 그림 콘텐츠가 다채롭고 더 많다.
장르별, 화가별, 주제별로 미술 작품을 검색할 수 있으며, 책 일러스트와 아트비 추천 작품도 쉽게 받아 볼 수 있다. 또한, 회원 가입으로 원하는 작품을 내 컬렉션에 넣어 보관하고 다운로드 기록을 확인하거나, 개인 메시지를 보내는 등의 편리한 개인 정보 관리 기능을 무료로 제공하고 있다.
좀 더 일찍 알았으면 좋았을 유용한 웹 사이트 10개
일상생활에서 딱 한 번은 꼭 필요한 웹 사이트 10개
퍼블릭 도메인 무비(public domain movies)
저작권 없는 영화를 볼 수 있는 사이트


퍼블릭 도메인 무비(public domain movies)은 예전 클래식 영화와 만화를 볼 수 있는 사이트다. 영화의 등장인물, 기본 줄거리 외 영화와 관련된 정보를 보여주며 실시간으로 감상할 수 있다. 또한 MP4파일로 다운로드 받아 소장이 가능하다. 물론, 저작권 기한이 만료되었기에 상업적인 용도의 편집 및 어떠한 가공도 가능하다.
FMA(FREE ACCESS TO ORIGINAL MUSIC & CREATORS)
저작권 없는 음악을 사용할 수 있는 사이트


FMA는 Tribe of Noise가 제공하는 서비스로 전 세계 독립 아티스트의 공개 라이선스 원본 음악에 대한 무료 액세스를 제공한다. Tribe of Noise가 소유한 전 세계 가수 및 작곡가의 150,000곡 이상의 노래를 음악 라이브러리에 보관 및 다운로드할 수 있다.
모든 트랙은 무료이지만 저작자가 요구하는 크리에이티브 커먼즈 라이선스(Creative Commons license)를 반드시 따라야 하기 때문에 상업적으로 이용할 경우 반드시 저작권 조건을 확인해야만 한다. 그리고 유튜브, 페이스북, 팟캐스트 및 기타 미디어 프로젝트에 쓸 고품질 음악은 소정의 금액을 지불해야 다운로드가 가능하다.
안녕하세요~~~~~~~~~~~~~~~~~~~~~~~~~~~~~~~~~~~~~~~~~~~~~~~~~~~~~~~~~~~~~~~~~~~~~~~~~~~~~~~~~~~~~~~~~~~~~~~~~~~~~~~~~~~~~~~~~~~~~~~~~~~~~~~~~~~~~~~~~~~~~~~~~~~~~~~~~~~~~~~~~~~~~~~~~~~~~~~~~~~~~~~~~~~~~~~~~~~~~~~~~~~~~~~~~~~~~~~~~~~~~~~~~~~~~~~~~~~~~~~~~~~~~~~~~~~~~~~~~~~~~~~~~~~~~~~~~~~~~~~~~~~~~~~~~~~~~~~~~~~~~~~~~~~~~~~~~~~~~~~~~~~~~~~~~~~~~~~~~~~~~~~~~~~~~~~~~~~~~~~~~~~~~~~~~~~~~~~~~~~~~~~~~~~~~~~~~~~~~~~~~~~~~~~~~~~~~~~~~~~~~~~~~~~~~~~~~~~~~~~~~~~~~~~~~~~~~~~~~~~~~~~~~~~~~~~~~~~~~~~~~~~~~~~~~~
안녕하세요.